번영하고 아름다운 베이징 도시, 웅장하고 장엄한 톈안먼 광장에 인민영웅기념비가 우뚝 서 있다. 8개의 거대한 부조(浮雕)는 중화민족이 해방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한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눈에 띄는 첫 번째 부조 앞에서 사람들은 늘 발걸음을 멈추고 오랫동안 바라보게 된다. 바로 국내외를 떨게 한 '후먼 아편 파괴' 장면이다. 근대 중국인민의 제국주의 반대 및 외세 침략 저지 투쟁의 역사는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린쩌쉬(林则徐)—이 위대한 투쟁의 선구자이다.
린쩌쉬(1785-1850)는 자(字)가 원부(元抚)이며, 또 자가 소목(少穆), 후년에는 사촌노인(俟村老人)이라 불렀다. 푸젠 후관(현재 푸젠성 푸저우) 사람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관직 생활에서 청렴하고 정직했으며 민생을 걱정하여 백성들로부터 찬양을 받았다. 중국 청나라 시대의 애국 정치가, 사상가, 시인이었다. 아편 전쟁 당시 엄격한 아편 금지와 서구 자본주의의 침략에 저항할 것을 주장하며 중국의 주권과 민족 이익을 지키려 했고, 다수의 아편을 압수하여 파괴했으며, 영국 침략자들의 여러 무력 도발을 물리쳤다. 이는 위대한 애국주의 정신을 보여주었으며, 역사학계에서는 근대 중국에서 '세계를 바라본 첫 번째 인물'이라고 평가한다.
후먼 아편 파괴
역사적으로 린쩌쉬의 이름은 언제나 유명한 '후먼 아편 파괴'와 함께 언급되어 왔다.
아편은 속칭 '대연(大烟)'이라고도 하며, 아후룽(阿芙蓉)이라고도 한다. 양귀비 열매 속의 젖을 말려 만든 것으로, 갈색에서 검정색에 이르는 건조한 덩어리 형태이며 특유의 냄새가 있고, 약용 아편은 분말 형태이다. 아편은 강력한 마약제로 중국에서는 원래 안정과 통증 완화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양약(洋药)'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아편은 다량의 모르핀과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어 독성이 매우 강하며, 일단 중독되면 금단이 쉽지 않아 신체의 체력이 점차 쇠약해지고 정신력이 소모되며 의지가 쇠퇴하여 결국 생명을 잃게 된다. 영국은 18세기부터 아편 무역을 시작했으며, 1799년 중국에 밀수한 아편은 4,000상자 이상(각 상자는 약 50kg 또는 100kg)이었으나, 1835년에는 무려 35,445상자로 급증했다. 1835년 중국 내 아편 흡연자는 약 200만 명 이상으로, 아편의 폐해가 이미 광범위하게 퍼졌음을 보여준다.
아편의 유입은 아편 중독자들을 대거 발생시키는 동시에 백은(白銀)의 대량 유출을 초래했다. 아편의 폐해가 만연하여 이미 중화민족의 생존 자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었다. 이에 린쩌쉬는 더 이상 분노를 참지 못하고 1838년 청나라 도광제(道光帝)에게 과감하게 상주문을 올렸다. "아편은 이미 천하를 황폐하게 하여 그 해악이 극심합니다. 만약 이를 경시하고 방치한다면 수십 년 후 중원에는 적을 막을 병사도 없고 군량을 충당할 은자(銀子)도 없게 될 것입니다."
당시 청나라 관료들은 아편 문제에 대해 대략 두 파로 나뉘어 있었는데, 즉 아편 금지를 주장하는 '엄금파(严禁派)'와 금지에 반대하는 '치금파(弛禁派)'였다. 두 진영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던 도광제는 린쩌쉬의 상주문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는 12월 린쩌쉬를 수도로 불러 회의를 열었으며, 반달 동안 19차례나 면담하였다. 린쩌쉬는 자신의 금연 주장과 시행할 조치들을 상세히 설명하여 도광제를 크게 감동시켰고, 이에 따라 린쩌쉬를 특명 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하여 광둥에서 아편 단속을 하도록 하였다.
1839년 3월 10일, 린쩌쉬는 중책을 맡아 광저우에 도착했다. 다음 날, 그는 특명 대신 관저의 문에 고시문을 붙였다. 지방의 어떤 공급도 받지 않으며, 간사한 자들이 명분을 내세워 백성을 괴롭히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수행원들의 행동을 엄격히 제한하고, 뇌물 수수, 청탁, 기밀 누설 등의 부정부패를 단호히 근절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엄숙하게 선언했다. "아편이 끊어지지 않는 한 본 대신은 돌아가지 않겠습니다. 반드시 이 일을 끝까지 수행할 것이며, 결코 중단하지 않겠습니다." 동시에 그는 여러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량광총독(兩廣總督) 덩팅전(鄧廷桢)과 광둥 수사제독(水師提督) 괸톈페이(關天培)와 함께 수군을 정비하고 해안 방어를 강화했으며, 유식한 인사들을 소집하여 마약상들의 밀매 상황을 폭로하게 했고, 영국 자본가들과 결탁한 주요 마약상 61명을 체포했으며, 외국 상인들에게 3일 이내에 모든 아편을 압수하라고 명령했다. 당시 린딩양(零丁洋)에 정박한 22척의 아편 저장선 각각은 1,000상자 이상의 아편을 쌓아두고 있었다. 그러나 외국 상인들은 지연과 부정, 뇌물 제공 등의 수법을 동원하여 단지 1,037상자만 내놓겠다고 했다. 린쩌쉬는 이를 엄중히 반박하고, 아편 파괴를 방해하는 마약상 두목 디엔디(顛地)를 소환하라고 명령했다. 디엔디는 겁에 질려 숨어버리고 소환을 거부했다. 중국 주재 영국 무역감독인 엘리엇(Elliot, 의률)의 보호 아래 디엔디는 밤새 도망치려 했으나, 도중에 분노한 군중에게 발견되어 붙잡히고 말았다. 엘리엇은 분노와 수치심을 느끼며 무력을 동원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린쩌쉬는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포격함이 연안을 순찰하도록 명령하고 병사들을 파견하여 외국 상관(商館)을 봉쇄하여 외국 상인들과의 모든 무역과 공급을 차단했다. 과거에 오만하게 행동하던 외국 상인들은 상관 안에 숨어 심지어 음용수와 음식조차 구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동시에 린쩌쉬는 엘리엇의 주거지 문 앞에 경고문을 붙이며 엄중히 경고했다. "앞으로 중국에서 아편을 파는 자는 죽고, 아편을 피우는 자도 죽는다... 도대체 내지(內地)의 사람만 죽어야 하고 너희들만 죽지 않아도 되는가?" 외강중간(外强中干)인 엘리엇은 더 이상 방법이 없어 머리를 숙이고 영국 상인들에게 모든 아편을 내놓도록 지시할 수밖에 없었다. 5월 중순까지 중국이 압수한 아편은 총 19,187상자와 2,119자루로, 무게는 230여만 근(斤), 가치는 백은 800여만 냥(兩)에 달했다. 아편상들이 하나둘 국외로 추방되자 엘리엇도 상관의 영국인들을 이끌고 초라한 모습으로 광저우를 떠났다.
1839년 6월 3일은 중국인민에게 영원히 잊히지 않을 날이다. 이날 날씨는 맑았고, 바다는 푸르렀으며, 후먼 해변에는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린쩌쉬는 여러 관리들과 함께 직접 아편 파괴를 감독했다. 해변의 높은 곳에는 두 개의 인공적으로 파낸 15장(丈) 각의 큰 연못이 있었는데, 안에는 소금물이 넘쳐흐르고 있었다. "쾅... 쾅..." 하는 포성과 함께 무더기로 아편이 연못에 쏟아졌고, 곧이어 석회를 투입하자 연못의 물이 끓어오르며 연기와 안개가 뒤엉켰다. 큰 연못의 수문이 열리자 이미 녹아 없어진 아편 찌꺼기가 파도를 타고 푸른 바다로 흘러들어갔다. 이때 수천, 수만의 관중들은 천지를 뒤흔드는 함성을 터뜨렸다.
6월 3일부터 25일까지 후먼 아편 파괴는 무려 20여 일간 지속되었다. 아편을 압수한 기간 동안 린쩌쉬는 이 방대한 과정을 한순간도 게을리하지 않고 감독했다.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철저히 성실하게 일하며, 한 점의 빈틈도 없었다. 처음 외국 상인들은 "중국인들은 아편 한 냥도 태우지 못할 것"이라며 단언했지만, 그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며 린쩌쉬가 20여 일간 237만 근의 아편을 모두 파괴하는 것을 목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