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자서, 소관을 넘다

제후 대국들이 패권을 다투는 투쟁 속에서, 대국들은 소국들을 병합하며 땅을 넓혔다. 그러나 대국의 제후들은 새로 얻은 땅을 공을 세운 대부들에게 봉건으로 나누어 주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대부들의 세력이 커졌고, 그들 사이에서도 끊임없이 갈등이 발생했다. 대국 내부의 모순은 날로 심화되어, 모두 패권 다툼의 전쟁을 잠시 멈추고 싶어 했다.

이러한 이유로 송나라의 대부 상서(音 shù)는 진과 초 사이를 오가며 중재자 역할을 했다.

기원전 546년, 진과 초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송나라에서 '이병회의(弭兵會議)'(音 mǐ, '이병'은 전쟁을 멈추는 것을 의미함)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진나라와 초나라의 대부들이 남북 두 진영을 대표하여 화해를 선언하고 동맹을 맺었다. 제·진 두 대국을 제외하고, 모든 소국들은 진과 초 양국에 동등하게 조공을 바쳐야 하며, 진과 초는 패권을 나누어 가지기로 했다. 그 후 50여 년간 큰 전쟁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장왕의 손자 초평왕이 즉위한 후, 초나라는 점차 쇠락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522년, 초평왕은 원래의 태자 건을 폐위하려 했다. 이때 태자 건과 그의 스승 오사(伍奢)는 성부(성부, 현재의 허난성 샹청 현 서쪽)에서 지키고 있었다. 초평왕은 오사가 반대할 것을 두려워해 먼저 그를 불러들여 태자 건이 모반을 꾀하고 있다고 거짓말로 고소했다. 오사는 아무리 해도 인정하지 않았지만, 즉시 옥중에 갇히고 말았다.

초평왕은 한편으로 태자 건을 암살하러 사람을 보내고, 다른 한편으로 오사에게 그의 두 아들 오상(伍尚)과 오자서(伍子胥)에게 돌아오라고 편지를 쓰도록 강요했다. 함께 처형하기 위함이었다. 장남 오상은 영도(현재의 후베이성 장링 현 북서쪽, '영'은 yǐng이라 발음함)로 돌아와 아버지 오사와 함께 초평왕에게 살해당했다. 태자 건은 미리 소식을 듣고 아들 공자 승과 함께 송나라로 도망쳤다.

오사의 또 다른 아들 오자서도 초나라에서 탈출하여 송나라로 달려가 태자 건을 찾았다. 불행하게도 송나라가 내란을 일으켰고, 오자서는 태자 건과 공자 승을 데리고 정나라로 도망쳤다. 정나라에 복수를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그러나 정나라 군주 정정공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태자 건은 복수심이 급해져 정나라의 일부 신하들과 결탁하여 정정공의 권력을 빼앗으려 했으나, 정정공에게 살해당했다. 오자서는 공자 승을 데리고 정나라를 탈출해 오나라(수도는 현재의 장쑤성 쑤저우)로 망명해야 했다.

초평왕은 이미 오자서를 체포하면 포상금을 내겠다고 명령했으며, 오자서의 초상을 그리게 해 초나라 각지의 성문에 걸어두고, 지방 관리들에게 철저히 수색하도록 지시했다.

오자서는 공자 승을 데리고 정나라를 탈출한 후 낮에는 숨고 밤에 길을 떠나 오와 초의 경계에 있는 소관(현재의 안후이성 한산 현 북쪽)에 도착했다. 관문의 관리들이 수색을 매우 철저히 했다. 전설에 따르면 오자서는 여러 날 밤을 근심으로 잠 못 자며, 머리까지 새하얗게 세웠다고 한다. 다행히 그들은 오자서를 동정하는 선량한 사람 동고공을 만나 그의 집으로 데려가 보호를 받았다. 동고공에게는 외모가 오자서와 약간 닮은 친구가 있었다. 동고공은 그 친구에게 오자서를 가장하게 해 관문을 통과하게 했다. 관문의 수비병들은 가짜 오자서를 붙잡았고, 진짜 오자서는 머리가 완전히 하얗게 세어 외모가 달라져 수비병들이 알아보지 못해 무사히 관문을 빠져나갈 수 있었다.

오자서가 소관을 통과한 후, 뒤에서 추격병이 올까 두려워 급히 달려갔다. 앞에는 큰 강이 길을 가로막았다. 오자서가 애를 태우고 있을 때, 강 위에서 한 노어부가 작은 배를 타고 다가와 오자서를 강 건너로 건너게 했다. 강을 건넌 후, 오자서는 매우 감격하여 옆에 차고 있던 보검을 떼어 노어부에게 주며 말했다. "이 검은 초왕이 내 조부에게 내린 것이며, 백 냥의 금과 맞먹는 가치가 있습니다. 이제 당신께 드리니, 어찌됐든 제 마음을 표시하고자 합니다." 노어부는 말했다. "초왕은 당신을 체포하면 오만 석의 곡식을 포상으로 내고, 고발자에게는 대부의 작위를 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나는 그런 포상과 작위도 탐내지 않는 마당에, 어찌 당신의 보검을 원하겠습니까?"

오자서는 서둘러 노어부에게 사과하고 검을 되찾아 차고, 작별 인사를 한 후 떠났다. 오자서가 오나라에 도착했을 때, 오나라의 공자 광은 왕위를 빼앗으려 하고 있었다. 오자서의 도움으로 공자 광은 오왕 요(音 liáo)를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이것이 곧 오왕 합려(音 hé lǘ)이다.

오왕 합려가 즉위한 후, 오자서를 대부로 봉해 나라의 중요한 정사를 처리하게 했으며, 또 한 명의 장군 손무를 등용했는데, 이는 전쟁에 능한 훌륭한 군사 전략가였다. 오왕은 오자서와 손무라는 두 인물을 믿고 군대를 정비하여 먼저 주변의 몇몇 소국들을 병합했다. 기원전 506년, 오왕 합려는 손무를 대장으로, 오자서를 부장으로 삼아 직접 대군을 이끌고 초나라를 공격했다. 연전연승하여 초나라 군대를 완전히 무너뜨리고, 영도까지 진격했다.

그 무렵 초평왕은 이미 죽었고, 그의 아들 초소왕도 도망쳤다. 오자서는 초평왕을 매우 미워하여 그의 무덤을 파헤치고, 평왕의 시신을 파내어 가차 없이 매질했다. 오군은 영도를 점령했다.

초나라 사람 신포서는 진나라로 도망가 구원을 요청했다. 진애공은 처음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았다. 신포서는 진나라 궁전 밖에서 떠나지 않고,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통곡했으며, 결국 7일 7야를 울었다. 진애공은 마침내 감동되어 말했다. "초나라는 비록 잔혹하고 도덕이 없었으나, 이렇게 훌륭한 신하가 있으니 어찌 그들이 망하는 것을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있겠는가!"

진애공은 군대를 보내 초나라를 구원하여 오군을 격파했고, 비로소 오왕 합려는 군대를 철수해 귀국했다. 오왕 합려가 수도로 돌아와 첫 번째 공로를 손무에게 돌렸다. 그러나 손무는 관직을 원하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했다. 그가 남긴 『손자병법』은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래된 뛰어난 군사 저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