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8년, 청나라 세종 옹정제는 전국적으로 북경 관화(官話)를 보급하기 위해 '정음서관(正音書館)'을 설립했다. 그는 복건(福建)과 광동(廣東) 두 성에 한민족의 공통어(옛날에 '관화'라 불렀음)를 보급할 것을 명령하고, "거인(擧人), 생원(生員), 공감(貢監), 동생(童生) 중 관화를 능숙히 하지 못하는 자는 시험에 응시하지 못하게 한다"고 규정했다. 즉, 책을 읽는 사람이 관화를 듣고 이해하지 못하거나 말하지 못하면 과거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만주어를 국어이자 민족 상징으로 여기는 만주족 황제가, 이처럼 한어 보통화(普通話)를 장려하는 상서(上諭)를 파격적으로 내린 것은 당시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이 상서가 발표된 후, 복건과 광동 두 성의 각 군현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음서원(正音書院)을 설립하여 관화를 가르쳤다. 과거를 통해 벼슬길에 오르려는 모든 독서인들은 반드시 관화를 알아야 했다. 심지어 한때는 관화를 구사하지 못하는 동생(童生)은 수재(秀才) 자격을 얻을 수 없다는 규정까지 있었다.
옹정제의 '보통화 보급'(推普) 상서는 결코 안목이 없었다고 할 수 없으며, 시행 조치도 결코 약했다고 볼 수 없지만, 실제로는 성과가 미미했다. 기록에 따르면, "초기에는 매우 진지하게 추진되었으나, 지방 관리들이 모두 급하지 않은 일로 여기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모두 쇠퇴해졌고, 가경(嘉慶)·도광(道光) 시기에는 복건에서도 샤오우(邵武) 성내에 한 곳만이 남아 있었으나 과거 제도도 변경되었고, 광동은 더 이상 소식이 없었다"고 한다.
'보통화 보급' 상서는 이상적인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여전히 일부 긍정적인 작용과 영향을 미쳤다. '보통화 보급'의 선구자로서 옹정제는 후에 장지동(張之洞) 등이 제안한 '관음(官音)으로 천하의 언어를 통일한다'는 사상과 조치의 기반을 마련했다. 1902년 장지동과 장바이시(張百熙) 등은 청나라 정부를 위해 『학무강요(學務綱要)』를 작성하면서 "중국 민간에서는 각각 토음을 사용하여 한 성 안에서도 서로 말을 통하지 못해 일 처리에 자주 마찰이 생기므로, 이제 관음으로 천하의 언어를 통일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범학교에서 고등소학교에 이르기까지 중국어 과목에 관화 과목을 추가한다. 관화 연습은 각 학교에서 모두 『성유광훈직해(聖諭廣訓直解)』라는 책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명백히, 장지동 등의 '보통화 보급' 사상은 옹정제의 '보통화 보급' 상서의 핵심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이며, 더욱 발전시켰다. 1909년 청나라 정부의 자정원(資政院) 회의에서 의원 강겸(江謙)이 공식적으로 '관화(官話)'를 '국어(國語)'로 정명(正名)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