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초회환: 언제까지나 감은을 간직하라
【출전】 『좌전(左傳)·선공 15년』, 『후한서(後漢書)·양진전(楊震傳)』
【의미】 은혜에 보답하고 감사를 잊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역사 고사】
'결초(結草)' 이야기는 『좌전·선공 15년』에 나온다. 춘추 시대 진나라의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애첩이 있었다. 위무자가 병에 걸렸을 때, 그의 아들 위과(魏顆)에게 말했다. "내가 죽은 후에는 반드시 그녀를 장가보내라." 얼마 후 위무자의 병세가 악화되자 다시 위과에게 말했다. "내가 죽은 후에는 반드시 그녀가 나를 따라 죽도록 하라(순장)." 위무자가 죽은 후, 위과는 그 애첩을 죽여 함께 묻지 않고, 다른 사람과 결혼시켰다. 위과는 "사람이 병이 심하면 정신이 혼미해지기 때문에, 나는 아버지가 정신이 맑을 때 내린 명령을 따랐다"고 말했다.
나중에 진(秦)의 환공(桓公)이 진(晉)을 침공하자, 진나라 군대와 진나라 병사들이 진나라의 보씨(輔氏, 오늘날의 산시성 다리현)에서 전투를 벌였다. 진 장수 위과와 진 장수 두회(杜回)가 맞닥뜨려 격렬한 싸움을 벌였다. 두 사람이 팽팽하게 맞서 싸우던 중, 위과는 갑자기 한 노인이 풀로 엮은 밧줄로 두회를 묶어 넘어뜨리는 것을 보았다. 이로 인해 위대한 진나라의 장사 두회는 중심을 잃고 넘어져 위과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이로 인해 위과는 이 전투에서 진나라 군대를 격파할 수 있었다.
진나라 군대가 승리하고 병력을 철수한 후, 그날 밤 위과는 꿈에서 낮에 풀밧줄로 두회를 묶어 넘어뜨린 노인을 보았다. 노인은 "나는 당신이 나의 딸을 당신 아버지의 순장이 되지 않게 장가보낸 그 여인의 아버지이다. 내가 오늘 이렇게 한 것은 당신의 큰 은혜에 보답하기 위함이다!"라고 말했다.
'회환(銜環)' 이야기는 『후한서·양진전』의 주석에서 인용한 『속제해기(續齊諧記)』에 나온다. 양진의 아버지 양보(楊寶)가 아홉 살 때, 화음산 북쪽에서 매에게 다친 황새 한 마리가 나무 아래로 떨어져 개미떼에게 둘러싸인 것을 보았다. 양보는 불쌍히 여겨 집으로 데려와 수건으로 만든 상자에 넣고, 오직 노란 꽃만 먹여 주었다. 백 일이 지난 어느 날, 황새의 깃털이 풍성하게 자라나 날아갔다. 그날 밤, 황의(黃衣)를 입은 어린이가 양보에게 절하며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말했다. "나는 서왕모의 사자입니다. 당신의 인애로 구해 주신 은혜를 진심으로 느낍니다." 이어 양보에게 흰 옥고리 네 개를 주며 말했다. "이것은 당신의 자손들이 삼공(三公)의 자리에 오르고, 정치를 청렴하게 하며, 세상을 살아가며 이 옥고리처럼 흠 없이 깨끗하게 행동하게 해줄 것입니다."
과연 황의 어린이의 말처럼, 양보의 아들 양진, 손자 양병, 증손자 양사, 현손자 양표까지 네 대에 걸쳐 모두 태위(太尉)에 올랐으며, 모두 강직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청렴하게 정치를 했고, 그들의 미덕은 후세에 전해졌다.
후세에 사람들은 '결초'와 '회환'을 합쳐 오늘날까지 전해오며, 은혜에 보답하고 결코 잊지 않음을 비유한다.
【성장의 교훈】
평소에 누군가 자신에게 은혜를 베풀었을 때, 사람들은 종종 '결초회환'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감사와 보답의 마음을 나타낸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은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감사하는 삶을 사는 사람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 중 가장 존경받을 만한 존재이다. 또한 이 두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착한 일에는 착한 보답이 따른다'는 것과 '작은 선행이라도 하지 말라는 말을 하지 말라(勿以善小而不為)'는 교훈을 주고 있다.